2026학년도 수능연계교재

2026년 수능특강 수업용 [LESSON 7]

enable2025 2025. 1. 25. 01:07
반응형

함축적 추론 뒤에 이어서 주제 부분을 만듦.  5.6.7

 

PDF 파일 내려보면 나옵니다. 

 

수업시 필요한 부분 마다 하나씩 만들 예정입니다.  필요하신분 쓰세요~ 

 

LESSON 7 [제목파악]

01: Is there any more virtuous practice than eating an apple a day? Maybe not unless it’s eating a banana instead. Don’t fall into the trap of buying the same fruits week after week just because you’re in the habit of always packing an apple for lunch, for example. A large Red Delicious might cost as much as $1, depending on the season, when an orange might cost half as much and a banana only a fourth. If that’s the case, take a minute to ask yourself: Is having an apple really worth four times as much as having a banana instead? Put another way, if your family of four substituted a less expensive banana for apples, you’d save $1,100 in a year without making any other changes to your budget and without shopping around. It’s important to note that the prices in this example are from the same supermarket. Shopping at numerous stores isn’t necessary when you know what the costs of simple substitutions are in terms of variety and size.

 

하루에 사과 한 개를 먹는 것보다 더 효험이 있는 실천이 있을까? 바나나를 대신 먹는 것 말고는 아마도 없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점심으로 항상 사과를 싸는 습관이 있다고 해서 매주 같은 과일을 사는 함정에 빠지지 말라. 계절에 따라 커다란 레드 딜리셔스는 1달러에 달할 수 있지만, 그때 오렌지는 절반, 바나나는 4분의 1 가격에 불과할 수 있다. 그것이 사실이라면 잠시 시간을 내어 자신에게 물어보라. ‘사과를 먹는 것이 대신 바나나를 먹는 것보다 정말 네 배나 더 가치가 있는가?’ 달리 말하면, 만약 4인 가족이 사과 대신 비용이 덜 드는 바나나로 대체한다면, 예산에 다른 변화를 주지 않고, 가게를 돌아다니지 않아도 1년에 1,100달러를 절약할 것이다. 이 예시에서 가격은 동일한 슈퍼마켓에서 나온 것임을 주목하는 것이 중요하다. 종류와 크기 면에서 간단한 대체품의 비용을 알고 있다면 수많은 매장에서 쇼핑할 필요가 없다.

 

02: Punishment can be imposed by the person or group against whom the transgressor transgressed, or by a third party, or by oneself (guilt acts as a form of self-punishment). Generally, punishment carries a cost to the punisher, like the energy needed to perform the punishment, as well as some risk of revenge. Punishments that are extra dangerous or risky are considered costlier. Sometime in our distant past, we realized that mere exposure to public humiliation could be used where physical, often violent elimination from the group had previously been required. The emergence of shaming as a social option would have reduced the cost of punishment, because mere exposure that served to damage an individual’s reputation in front of the group could have negative consequences for instance, members of the group might choose not to cooperate with the shamed individual in the future. Shaming and social exclusion are closely linked, but shaming is less costly. And unlike transparency, which exposes everyone, shaming exposes only a section of the population.

 

처벌은 위반자의 위반 행위 대상이었던 사람이나 집단, 혹은 제삼자, 혹은 자신(죄책감은 자기 처벌의 역할을 한다)에 의해 부과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처벌에는 처벌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에너지와 더불어 다소의 보복 위험과 같은 대가가 처벌자에게 수반된다. 매우 위험하거나 모험적인 처벌은 대가가 더 큰 것으로 여겨진다. 먼 과거의 언젠가, 우리는 이전에는 집단으로부터의 물리적인, 흔히는 폭력적인 제거가 요구되었던 상황에서 단순히 공개적인 굴욕을 당하는 것이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사회적 선택으로서 망신 주기의 등장은 처벌의 대가를 감소시켰을 것인데, 이는 집단 앞에서 개인의 평판을 훼손하는데 도움이 된 단순한 노출이 부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었기 때문으로, 가령 집단 구성원들이 망신당한 개인과 장차 협력하지 않기로 선택할 것이다. 망신 주기와 사회적 배제는 밀접한 관련이 있지만, 망신 주기가 대가가 덜하다. 그리고 모든 사람을 드러내는 투명성과는 달리, 망신 주기는 집단의 일부만 드러낸다.

 

03: One of the greatest barriers to human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on is that we cannot see inside another person’s mind. This limitation gives rise to unintended misunderstandings and allows people to employ all sorts of deceptive strategies, both consciously and unconsciously. Some of the ways digital technology is helping us overcome this barrier include various means of truth (or lie) detection, multimodal communications, and digital readouts of our own and others’ brain waves. Already, researchers at Carnegie Mellon University (CMU), using digital computer analyses of brain patterns captured by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fMRI) scans, are able to tell what a person is thinking about. It is likely, according to these researchers, that our children will, in their lifetimes, be able to read people’s thoughts and even have access to direct brain-to-brain communication. While these developments will clearly raise ethical issues and privacy questions that will have to be addressed, there can be little doubt that as people gain access to and learn to take into account others’ unspoken motives, thoughts, needs, and judgments in their own thinking, their wisdom will increase.

 

인간 이해와 소통의 가장 큰 장벽 중 하나는 우리가 다른 사람의 마음속을 들여다볼 수 없다는 것이다. 이러한 한계는 의도치 않은 오해를 불러일으키고 사람들이 의식적으로 또 무의식적으로 온갖 종류의 기만적인 술수를 쓸 수 있게 한다. 디지털 기술이 우리가 이러한 장벽을 극복하도록 돕게 될 방법 중 몇몇은 다양한 진실(또는 거짓말) 탐지 방법, 다중 방식 통신, 우리 자신과 타인의 뇌파 디지털 판독을 포함한다. 이미 Carnegie Mellon 대학교(CMU)의 연구자들은 기능적 자기 공명 기록법(fMRI) 스캔으로 포착한 뇌 패턴의 디지털 컴퓨터 분석을 이용하여 사람이 무슨 생각을 하고 있는지 알 수 있다. 이 연구자들에 따르면, 우리 아이들은 사는 동안에 사람들의 생각을 읽을 수 있게 될 것이 고, 심지어 뇌와 뇌의 직접적인 소통을 할 수 있게 될 것 같다. 분명히 이러한 발전은 해결되어야 할 윤리적 문제와 사생활 문제를 제기할 것이지만, 사람들이 다른 사람이 말로 하지 않은 동기, 생각, 욕구, 판단에 접근하고, 이를 자신의 사고 안에서 고려하는 법을 배우면서, 지혜가 향상될 것이라는 데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04: In his Nicomachean Ethics, Aristotle used the example of a builder and a shoemaker to demonstrate an important point. If the builder constructs a house for the shoemaker, then the shoemaker must pay for the work in shoes. “But to determine how many shoes will be paid to the builder, a proportional equality must be established between the goods, and then reciprocity effected. Only then will the fair exchange be realized. But if there is no proportionality, the exchange is not equal and fair and will not hold together.” The builder would not have need of as many pairs of shoes necessary to compensate him. This is where money enters. It serves as a proportional medium of exchange. The proper proportion of shoes to the house in money terms makes the deal just. It is not simply a pricing mechanism but must be capable of producing well-being as well. “Thus, money acts like a measure: it makes goods commensurable and equalizes them. For just as there is no community without exchange, there is no exchange without equality and no equality without commensurability.”

 

자신의 Nicomachean Ethics에서 아리스토텔레스는 건축업자와 제화제공의 사례를 이용하여 중요한 점을 설명했다. 건축업자가 제화공을 위해 집을 지어 준다면, 제화공은 그 작업에 대한 대가를 신발로 지급해야 한다. “그러나 건축업자에게 지급할 신발의 수를 알아내려면 상품 간에 비례적 균등이 설정되어야 하고, 그런 다음 호혜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래야만 공정한 교환이 실현될 것이다. 그러나 비례성이 없다면, 교환은 동등하고 공정하지 않으며 일관되지 않을 것이다.” 건축업자는 그에게 보상하는데 필요한 켤레 수만큼 신발이 필요하지 않을 것이다. 여기에서 화폐가 등장한다. 그것은 교환의 비례적 매개체 역할을 한다. 돈으로 환산된 신발과 집의 적절한 비율은 거래를 공정하게 만든다. 그것은 가격을 책정하는 방법일 뿐만 아니라 행복 또한 만들어 낼 수도 있어야 한다. “이처럼 화폐는 척도와 같은 역할을 하는데, 그것은 재화를 같은 단위로 계산할 수 있게 만들고 그것들을 균등하게 만든다. 교환이 없으면 사회가 없는 것과 꼭 마찬가지로 균등이 없다면 교환도 없는 것이고, 같은 단위로 계산할 수 없다면 균등도 없는 것이다.”

 

2026학년도 수능특강 수업용 [5-7].pdf
1.73MB

25년 1월 25일 7시 수정

반응형